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6235
문제 설명
문제
부동산 투자로 억대의 돈을 번 상도는 최근 N×N 크기의 땅을 구매했다. 상도는 손쉬운 땅 관리를 위해 땅을 1×1 크기의 칸으로 나누어 놓았다. 각각의 칸은 (r, c)로 나타내며, r은 가장 위에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가장 왼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r과 c는 1부터 시작한다.
상도는 전자통신공학과 출신답게 땅의 양분을 조사하는 로봇 S2D2를 만들었다. S2D2는 1×1 크기의 칸에 들어있는 양분을 조사해 상도에게 전송하고, 모든 칸에 대해서 조사를 한다. 가장 처음에 양분은 모든 칸에 5만큼 들어있다.
매일 매일 넓은 땅을 보면서 뿌듯한 하루를 보내고 있던 어느 날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나무 재테크를 하자!
나무 재테크란 작은 묘목을 구매해 어느정도 키운 후 팔아서 수익을 얻는 재테크이다. 상도는 나무 재테크로 더 큰 돈을 벌기 위해 M개의 나무를 구매해 땅에 심었다. 같은 1×1 크기의 칸에 여러 개의 나무가 심어져 있을 수도 있다.
이 나무는 사계절을 보내며, 아래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봄에는 나무가 자신의 나이만큼 양분을 먹고, 나이가 1 증가한다. 각각의 나무는 나무가 있는 1×1 크기의 칸에 있는 양분만 먹을 수 있다. 하나의 칸에 여러 개의 나무가 있다면, 나이가 어린 나무부터 양분을 먹는다. 만약, 땅에 양분이 부족해 자신의 나이만큼 양분을 먹을 수 없는 나무는 양분을 먹지 못하고 즉시 죽는다.
여름에는 봄에 죽은 나무가 양분으로 변하게 된다. 각각의 죽은 나무마다 나이를 2로 나눈 값이 나무가 있던 칸에 양분으로 추가된다. 소수점 아래는 버린다.
가을에는 나무가 번식한다. 번식하는 나무는 나이가 5의 배수이어야 하며, 인접한 8개의 칸에 나이가 1인 나무가 생긴다. 어떤 칸 (r, c)와 인접한 칸은 (r-1, c-1), (r-1, c), (r-1, c+1), (r, c-1), (r, c+1), (r+1, c-1), (r+1, c), (r+1, c+1) 이다. 상도의 땅을 벗어나는 칸에는 나무가 생기지 않는다.
겨울에는 S2D2가 땅을 돌아다니면서 땅에 양분을 추가한다. 각 칸에 추가되는 양분의 양은 A[r][c]이고, 입력으로 주어진다.
K년이 지난 후 상도의 땅에 살아있는 나무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M, K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A배열의 값이 주어진다. r번째 줄의 c번째 값은 A[r][c]이다.
다음 M개의 줄에는 상도가 심은 나무의 정보를 나타내는 세 정수 x, y, z가 주어진다. 처음 두 개의 정수는 나무의 위치 (x, y)를 의미하고, 마지막 정수는 그 나무의 나이를 의미한다.
출력
첫째 줄에 K년이 지난 후 살아남은 나무의 수를 출력한다.
문제 풀이
dead_trees라는 배열을 두어 죽는 나무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여름' 부분 로직에서 해당 array를 pop하면서 영양분을 추가하도록 구현했는데 시간초과 오류 발생
- 죽는 나무들의 개수가 많을 경우 pop을 하는 과정 자체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음
(실패 - 시간초과)
const inputs = require("fs")
.readFileSync("/dev/stdin")
.toString()
.trim()
.split("\n");
// m개의 나무를 땅에 심어, k년
let [n, m, k] = inputs[0].split(" ").map(Number);
// nxn 땅 크기 초기엔 전부 5
let land = Array.from({ length: n }, () => Array(n).fill(5));
// nxn 영양분 정보
let nutritions = inputs
.slice(1, n + 1)
.map((input) => input.split(" ").map(Number));
// m개의 나무 정보 (x, y)좌표, 나이 (3개의 정보가 들어옴)
let trees = inputs
.slice(n + 1, n + 2 + m)
.map((input) => input.split(" ").map(Number));
// 죽은 나무 정보
let dead_trees = [];
// 나무 번식가능 위치
let breed_spot = [
[-1, -1],
[-1, 0],
[-1, 1],
[0, -1],
[0, 1],
[1, -1],
[1, 0],
[1, 1],
];
// k년 나무 재테크 시작
while (k > 0) {
// tree를 나이 순으로 정렬, 어린 순으로 양분을 먹어야 하므로
trees.sort((a, b) => b[2] - a[2]);
// 년도 1 감소
k--;
// 봄, 나무가 자신의 나이만큼 양분을 먹고 나이가 1증가
// 나이가 많은게 앞으로 정렬이 되어있는상황
let live_tree = [];
for (let i = trees.length - 1; i >= 0; i--) {
let [x, y, age] = trees[i];
// 양분을 먹을 수 있을 경우, 나이 + 1
if (land[x - 1][y - 1] >= age) {
land[x - 1][y - 1] -= age;
live_tree.push([x, y, age + 1]);
} else {
// 양분을 먹지 못할 경우, 추후에 양분을 추가할 값으로 죽은 나무에 추가
dead_trees.push([x, y, Math.floor(age / 2)]);
}
}
trees = live_tree;
// 여름, 죽은 나무가 양분으로 변환
while (dead_trees.length > 0) {
let [x, y, nutrient] = dead_trees.pop();
land[x - 1][y - 1] += nutrient;
}
// 가을, 나이가 5의 배수인 나무가 번식
for (let i = 0; i < trees.length; i++) {
let [x, y, age] = trees[i];
if (age % 5 === 0) {
// 번식
breed_spot.forEach((spot) => {
let xx = x + spot[0];
let yy = y + spot[1];
// 번식이 가능하면 나이가 1인 트리 추가
if (xx > 0 && xx <= n && yy > 0 && yy <= n) {
trees.push([xx, yy, 1]);
}
});
}
}
// 겨울
nutritions.forEach((nutrition, y) => {
nutrition.forEach((n, x) => {
land[y][x] += n;
});
});
}
console.log(trees.length);
trees배열에 나무의 생존여부에 따른 값을 하나 더 두어 filter를 통해 새로운 trees를 만들면서 영양소 추가하는 로직도 실행할 수 있도록 처리 함 -> 성공 코드 참고
(성공)
const inputs = require("fs")
.readFileSync("/dev/stdin")
.toString()
.trim()
.split("\n");
// m개의 나무를 땅에 심어, k년
let [n, m, k] = inputs[0].split(" ").map(Number);
// nxn 땅 크기 초기엔 전부 5
let land = Array.from({ length: n }, () => Array(n).fill(5));
// nxn 영양분 정보
let nutritions = inputs
.slice(1, n + 1)
.map((input) => input.split(" ").map(Number));
// m개의 나무 정보 (x, y)좌표, 나이 (3개의 정보가 들어옴)
// + 현재 나무가 살아있는지 판단하는 변수 하나 추가
let trees = inputs
.slice(n + 1, n + 2 + m)
.map((input) => [...input.split(" ").map(Number), 1]);
// 나무 번식가능 위치
let breed_spot = [
[-1, -1],
[-1, 0],
[-1, 1],
[0, -1],
[0, 1],
[1, -1],
[1, 0],
[1, 1],
];
// k년 나무 재테크 시작
while (k > 0) {
// tree를 나이 순으로 정렬, 어린 순으로 양분을 먹어야 하므로
trees.sort((a, b) => a[2] - b[2]);
// 년도 1 감소
k--;
// 봄, 나무가 자신의 나이만큼 양분을 먹고 나이가 1증가
for (let i = 0; i < trees.length; i++) {
let [x, y, age] = trees[i];
// 양분을 먹을 수 있을 경우, 나이 + 1
if (land[x - 1][y - 1] >= age) {
land[x - 1][y - 1] -= age;
trees[i][2] += 1;
} else {
// 죽은 나무는 3번째(나무의 생사를 판단하는 변수)를 0으로 수정
trees[i][3] = 0;
}
}
// 여름, 죽은 나무가 양분으로 변환 및 trees 초기화
trees = trees.filter((tree) => {
if (tree[3] === 1) {
return true;
} else {
const [x, y, age] = tree;
land[x - 1][y - 1] += Math.floor(age / 2);
return false;
}
});
// 가을, 나이가 5의 배수인 나무가 번식
trees.forEach((tree) => {
let [x, y, age] = tree;
if (age % 5 === 0) {
// 번식
breed_spot.forEach((spot) => {
let xx = x + spot[0];
let yy = y + spot[1];
// 번식이 가능하면 나이가 1인 트리 추가
if (xx > 0 && xx <= n && yy > 0 && yy <= n) {
trees.push([xx, yy, 1, 1]);
}
});
}
});
// 겨울
nutritions.forEach((nutrition, y) => {
nutrition.forEach((n, x) => {
land[y][x] += n;
});
});
}
console.log(trees.length);
결론
초반에 while문을 반복할 때마다 sort하는 것을 최대한 하지 않으려는 쪽으로 생각을 하였음,
결국 나무의 영양소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꼬이는 부분이 발생해 년도가 지날 때 마다 sort를 해주었음
(너무 최적화 할려고 sort에 초점을 많이 두었던거같음…)
또한, filter를 잘 활용하자는 걸 느낌
'코딩테스트 >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4890 경사로 (2) | 2025.01.06 |
---|